마중물스토리

자기목소리로 공동체에 참여하여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이 만든 시민단체입니다.

Water for change

활동

  
조회 수 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녕하세요.
(사)마중물 사무처입니다.

 

지난 6월 15일(토), 부산마중물세미나 2학기 마지막 4강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4강은 ‘상상, 이제 민주주의를 어떻게 할 것인가?’ 라는 주제로,
1~3강에서 민주주의를 성찰하며 그 이상과 철학을 함께 모색한 것을 바탕으로
마지막 시간에는 앞으로 우리가 마주할 민주주의의 새로운 과제와 가능성에 대해
깊이 토론하고 생각을 나누는 자리였습니다.

마중물은 조직화의 실천 중 하나로, 17년째 시민들의 자발적인 배움과 만남의 장으로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여기에 참여하는 모든 이는 교수나 전문가가 아닌 시민으로서 서로를 만나고 배우며,
각자의 삶 속에서 민주주의를 살아내는 법을 고민합니다.

 

이번 4강에서는 세 분의 발제를 통해
촛불 이후의 민주주의를 어떻게 일상 속에서 이어갈 것인가에 대한 깊은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박채현 선생님의 ‘더 이상 촛불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발제를 통해
행사로 끝나는 촛불이 아니라, 우리 삶의 일상이 촛불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나눴고,
강미경 선생님의 ‘폭싹 속는 민주시민 없이 민주주의는 민주화되지 않는다’ 발제를 통해
일상 속 민주주의의 필요성을 다시금 되돌아보았습니다.

또한 조예지 선생님은 『시민의 역습』을 바탕으로 감동적인 발제를 들려주셨습니다.

 

 

또한 강의에서는 민주주의를 ‘시민의 자기 통치’로 정의하며,
이를 믿고 실천하는 것이 충직한 민주주의자라고 이야기해주셨습니다.
그러나 민주주의라는 개념 자체가 고정된 것이 아니며,
누구에게 권리를 주고 주체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그 정의와 모습이 달라질 수 있음을 강조하셨습니다.

 

이념과 시대에 따라 민주주의의 형태는 언제든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주주의는 과연 불가역적인가? 라는 질문이 던져졌고,

트럼프 사례를 통해 공적 세계가 사적으로 사사화되는 ‘프렌들리 파시즘’ 현상을 짚어주셨습니다.

 

또한 시지프 신화를 빗대어
인간은 부당한 구조 속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기에,
삶은 끊임없는 세상읽기와 세상만들기, 운동의 연속이어야 한다는 메시지로 이어졌습니다.

 

강의가 끝난 뒤에는 뒤풀이 자리도 함께 마련되어
못다 한 이야기들을 편안한 분위기에서 이어갈 수 있었는데요.

 

부산마중물세미나는 2학기를 마무리하며,
다음 학기에는 더욱 새롭고 깊이 있는 주제로 다시 찾아뵐 예정입니다.


언제나 함께해주시는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곧 또 만나요! ✨

 

 

 

KakaoTalk_20250617_141851161.jpg

 

KakaoTalk_20250617_141851161_04.jpg

KakaoTalk_20250617_141851161_06.jpg

KakaoTalk_20250617_141851161_09.jpg

KakaoTalk_20250617_141851161_11.jpg

KakaoTalk_20250617_141851161_12.jpg

KakaoTalk_20250617_141851161_15.jpg

KakaoTalk_20250617_141851161_16.jpg

KakaoTalk_20250617_141851161_17.jpg

KakaoTalk_20250617_141851161_19.jpg

KakaoTalk_20250617_141851161_24.jpg

 

 

 


  1. 25년 6월_목요광장 기획특강

    Date2025.06.30 By(사)마중물 Views31
    Read More
  2. 25년 부산마중물세미나 3학기 4강(25.6.15)

    Date2025.06.17 By(사)마중물 Views78
    Read More
  3. 25년 6월_목요광장 철학 (시간 불평등)

    Date2025.06.17 By(사)마중물 Views52
    Read More
  4. 25년 마중물세미나 28학기 7강 (25.6.8)

    Date2025.06.10 By(사)마중물 Views85
    Read More
  5. 25년 마중물세미나 28학기 6강 (25.5.25)

    Date2025.05.29 By(사)마중물 Views123
    Read More
  6. 25년 5월_목요광장 정치평론 (후보선출과정을 통해 본 한국 정치의 현실과 상상)

    Date2025.05.16 By(사)마중물 Views152
    Read More
  7. 25년 마중물세미나 28학기 5강 (25.5.11)

    Date2025.05.13 By(사)마중물 Views133
    Read More
  8. 25년 마중물세미나 28학기 4강 (25.4.27)

    Date2025.04.29 By(사)마중물 Views165
    Read More
  9. 25년 4월_목요광장 책읽기 (이상이 일상이 되도록 상상하라)

    Date2025.04.21 By(사)마중물 Views213
    Read More
  10. 25년 마중물세미나 28학기 3강 (25.4.13)

    Date2025.04.15 By(사)마중물 Views227
    Read More
  11. 마중물데이 평가회(25.03.30)

    Date2025.04.01 By(사)마중물 Views256
    Read More
  12. 25년 부산마중물세미나 3학기 1강(25.3.29)

    Date2025.04.01 By(사)마중물 Views245
    Read More
  13. 25년 마중물세미나 28학기 2강(25.3.30)

    Date2025.04.01 By(사)마중물 Views245
    Read More
  14. 25년 3월_목요광장 영화읽기(미스비헤이비어)

    Date2025.03.21 By(사)마중물 Views228
    Read More
  15. 25년 마중물세미나 28학기 1강(25.3.16)

    Date2025.03.18 By(사)마중물 Views241
    Read More
  16. 마중물 이사장 이·취임식 (25.3.8)

    Date2025.03.12 By(사)마중물 Views238
    Read More
  17. 마중물데이 (2025.3.8 )

    Date2025.03.12 By(사)마중물 Views191
    Read More
  18. <철학자의 노년과 공동체>(25.2.15-16) 교육 진행

    Date2025.02.17 By(사)마중물 Views554
    Read More
  19. 제14차 사단법인 마중물 정기총회(25.2.8)

    Date2025.02.12 By(사)마중물 Views319
    Read More
  20. [선공길] 선배시민 공동체의 길을 만들다 (25.1월_서울)

    Date2025.01.06 By(사)마중물 Views489
    Read More
  21. 24년 부산마중물세미나 2학기 3강(24.12.28)

    Date2024.12.29 By(사)마중물 Views49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